맨위로가기

유노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노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유피테르의 아내이자 신들의 여왕으로 숭배되었다. 그녀는 결혼, 출산, 여성, 그리고 국가의 보호자로 여겨졌으며, "충고의 유노", "출산의 유노", "여왕의 유노" 등 다양한 칭호와 역할을 통해 숭배받았다. 유노는 또한 유피테르와의 결합을 통해 라틴 신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으며, 에트루리아 및 다른 문화권과의 연관성을 가지며, 카피톨리노 삼위신의 일부로 숭배되었다.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유노는 아이네아스와 로마 건국을 방해하는 적대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현대에는 NASA가 목성 탐사선에 '주노'라는 이름을 붙여 그녀의 이름을 기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육의 신 - 헤라
    헤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결혼, 여성, 출산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아내이자 자매이며, 질투심 많은 모습으로 묘사되고,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을 지원하며, 공작새 등을 상징한다.
  • 유노 (신화) - 템페스트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1610년에서 1611년 사이에 쓴 희곡 템페스트는, 밀라노 공작 프로스페로가 동생의 배신으로 섬에 추방된 후 복수를 위해 폭풍을 일으켜 적들을 유인하는 이야기로, 마법, 식민주의, 페미니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셰익스피어의 대표적인 로맨스극이다.
  • 유노 (신화) - 타니트
    타니트는 서지중해 지역에서 숭배받았던 여신으로, 전쟁, 다산, 보호를 상징하며, 바알 함몬과 함께 숭배되었고, 삼각형 위에 원이 있는 상징으로 표현된다.
유노 (신화)
기본 정보
유노 소스피타 상
유노 소스피타, 바티칸 미술관의 원본을 바탕으로 한 석고상
로마 이름유노
다른 이름("여왕")
그리스어 상응헤라
에트루리아어 상응우니
역할여신들의 여왕, 결혼과 출산의 여신
소속카피톨리누스 삼신조와 디이 콘센테스의 일원
배우자유피테르
부모사투르누스와 옵스
형제자매유피테르, 넵투누스, 플루토, 케레스, 베스타
자녀마르스, 불카누스, 벨로나, 루키나, 유벤타스

2. 어원

유노(Juno)라는 이름은 한때 'Iove'(유피테르, Jove)와 연관된 것으로 널리 여겨졌는데, 원래는 '*Diovona*'에서 유래된 '*Diuno*'와 '*Diove*'였다.[3] 이후에는 'iuven-' (라틴어 'iuvenis', "청춘"에서 유래), 'iūn-'으로 축약된 형태( 'iūnix', "암소", 'iūnior', "젊은이"에서 유래)에서 파생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 어원설은 게오르크 비소바의 지지를 받은 후 널리 받아들여졌다.[4]

'Iuuen-'은 라틴어 'aevum' 및 그리스어 'aion(αἰών)'과 공통 인도유럽어족 어근을 공유하며, 이는 생명력 또는 "생산적인 시간"의 개념을 나타낸다.[5] 'iuvenis'는 생명력이 충만한 사람을 뜻한다.[6] 일부 비문에서 유피테르 자신을 'Iuuntus'라고 부르며, 유피테르의 칭호 중 하나는 'Ioviste'인데, 이는 'iuuen-'의 최상급 형태로 "가장 젊은"을 의미한다.[7] "젊음"을 의미하는 유벤타스는 새로운 카피톨린 유피테르 신전 건설로 인해 이미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신들의 exauguratio가 필요했을 때 카피톨 언덕을 떠나기를 "거부"한 두 신 중 하나였다.[8]

고대 어원설에서는 유노의 이름을 'iuvare', "돕다, 이롭게 하다"와 'iuvenescere', "젊어지다"와 연관시켰으며, 때로는 이를 초승달과 차오르는 달의 갱신과 연결시켜 달의 여신의 개념을 암시하기도 했다.[9]

3. 역할과 칭호

유노는 다양한 칭호와 역할을 통해 숭배되었다.


  • 유노 모네타(Juno Moneta): "충고의 유노"라는 뜻이다. 유노 신전에서 기르던 거위가 갈리아인의 로마 침공을 예언했기 때문에 이러한 칭호가 붙었다.[64][65] 기원전 345년에 건설된 유노 신전에서는 화폐 주조도 이루어졌다.[69]

유노의 신성한 거위가 로마인들에게 경고하고, 갈리아족이 기원전 390년에 카피톨 언덕으로 접근하고 있다.

  • 유노 루키나(Juno Lucina): "출산의 유노"라는 뜻으로, 로마인들은 유노를 "아이를 광명 속에 내놓은 여신"으로 여겼다.[33]

출산의 여신인 유노 루치나로 추정되는 여성이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로마의 베누스)에게 아름다운 아들 아도니스를 선물하고 있다.

  • 유노 레기나(Juno Regina): "여왕의 유노"라는 뜻으로, 유피테르의 아내로서 "신들의 여왕"이라고도 불린다.[70][71]

''IVNO REGINA'' ("여왕 유노")는 율리아 소아에미아스를 기념하는 동전에 새겨져 있다.

  • 유노 포르투나(Juno Fortuna): "운명의 유노"라는 뜻이다.

  • 유노 카프로티나(Juno Caprotina): "풍요의 유노" 또는 "다산의 유노"라는 뜻이다.

  • 유노 소스피타(Juno Sospita): "구제의 유노" 또는 "수호자의 유노"라는 뜻이다. 포룸 올리토리움에 유노 소스피타 신전이 있었다.[42][43][44]

포룸 올리토리움에 있는 유노 소스피타 신전과 희망 및 경건 신전, 란치아니의 그림


|thumb|right|200px|고대 로마의 축척 모형에서 포룸 올리토리움 지역과 마르켈루스 극장]]

  • 유노 나탈리스(Juno Natalis): "생일의 유노"라는 뜻이다.

  • 유노 유가(Juno Juga): "결합의 유노"라는 뜻이다.

3. 1. 주요 칭호

유노는 다양한 칭호와 역할을 통해 숭배되었다.

  • 유노 모네타(Juno Moneta): "충고의 유노"라는 뜻이다. 유노 신전에서 기르던 거위가 갈리아인의 로마 침공을 예언했기 때문에 이러한 칭호가 붙었다.[64][65] 기원전 345년에 건설된 유노 신전에서는 화폐 주조도 이루어졌다.[69]

  • 유노 루키나(Juno Lucina): "출산의 유노"라는 뜻으로, 로마인들은 유노를 "아이를 광명 속에 내놓은 여신"으로 여겼다.[33] 기원전 375년에 유노 루키나의 신전(aedesla)이 키스피우스 언덕에 세워졌다.[35][36][37] 마트로날리아의 연례 축제는 신전 봉헌일인 3월 1일에 이곳에서 기념되었다.[39][40]

  • 유노 레기나(Juno Regina): "여왕의 유노"라는 뜻으로, 유피테르의 아내로서 "신들의 여왕"이라고도 불린다.[70][71] 유노 레기나는 로마에 두 개의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85] 기원전 392년 푸리우스 카밀루스가 봉헌한 신전은 아벤티노 언덕에 있었으며,[87] 또 다른 신전은 플라미니우스 서커스 근처에 마르쿠스 아에밀리우스 레피두스가 서약하고 봉헌했다.[88][89]

  • 유노 포르투나(Juno Fortuna): "운명의 유노"라는 뜻이다.

  • 유노 카프로티나(Juno Caprotina): "풍요의 유노" 또는 "다산의 유노"라는 뜻이다. 7월 5일의 ''노나에 카프로티나에''에는 유노 카프로티나에게 숫염소를 희생하는 의식이 행해졌다.

  • 유노 소스피타(Juno Sospita): "구제의 유노" 또는 "수호자의 유노"라는 뜻이다. 포룸 올리토리움에 유노 소스피타 신전이 있었다.[42][43][44]


|thumb|right|200px|고대 로마의 축척 모형에서 포룸 올리토리움 지역과 마르켈루스 극장]]

  • 유노 나탈리스(Juno Natalis): "생일의 유노"라는 뜻이다.

  • 유노 유가(Juno Juga): "최후의 유노"라는 뜻이다.

3. 2. 기타 칭호

유노는 다양한 첨가어와 측면을 가지고 숭배받고 있다.

  • 유노 모네타(Juno Moneta): 충고의 유노. 갈리아인의 로마 침입을 신전에서 길러지던 거위가 알렸기 때문에 "충고하다"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기원전 345년에 건설된 유노 모네타의 신전에서는 후에 화폐의 주조가 이루어졌다.
  • 유노 루키나(Juno Lucina): 출산의 유노. 로마인들은 "아이를 광명으로 인도하는 여신"이라고 칭했다.
  • 유노 레기나(Juno Regina): 여왕의 유노. 유피테르의 아내이며, 일반적으로 "신들의 여왕"이라고 불린다.
  • 유노 포르투나(Juno Fortuna): 운명의 유노.
  • 유노 카프로티나(Juno Caprotina): 풍요·다산의 유노.
  • 유노 소스피타(Juno Sospita): 구제·수호의 유노.
  • 유노 나탈리스(Juno Natalis): 생일의 유노.
  • 유노 유가(Juno Juga): 결합의 유노.

4. 유노와 관련된 축제

유노; 바티칸, 로마. 브루클린 박물관 아카이브, 굿이어 아카이브 컬렉션


유노의 모든 축제는 한 달의 칼렌다에 열렸지만, 두 개(또는 아마도 세 개)는 예외였다. 7월의 노나이에 열리는 ''노나이 카프로티나이''와 9월 13일에 열리는 ''유노 카피톨리나'' 축제가 그러했는데, 이 두 축제의 날짜는 유피테르의 우위성에 의해 결정되었다. 아마도 10월 10일에 ''유노 모네타''의 두 번째 축제가 열렸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그녀의 신전 봉헌일이었을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여신이 매달 초와 엄격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매년 3월 1일, 여성들은 유노 루키나를 기리는 마트로날리아 축제를 열었다. 루키나는 "아이를 빛으로 인도하는 자"로서의 유노의 별칭이었다. 이날 어린 양과 소가 그녀를 기리기 위해 치스피우스에 있는 그녀의 신성한 숲 사원에서 희생되었다.

두 번째 축제는 6월 1일에 열리는 ''유노 모네타'' 축제였다.

이후 7월 7일에 열린 ''노나이 카프로티나이''("야생 무화과의 노네스") 축제가 있었다.

''유노 레지나'' 축제는 9월 1일에 열렸고, 같은 달 13일에는 ''유노 레지나 카피톨리나'' 축제가 열렸다.

10월 1일은 여신이 ''유노 소로리아''로 존경받는 ''티길룸 소로리움''의 날이었다.

그녀의 연례 축제 중 마지막은 2월 1일에 열리는 ''유노 소스피타'' 축제였다. 2월은 위험한 과도기로 여겨지는 시기였고, 당시 우주력은 끝나가고 현세와 저승의 경계가 더 이상 안전하게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축제는 그녀를 기념하기에 적절한 날짜였다. 따라서 공동체는 호전적인 ''유노 소스피타'', 즉 "''구원자''"의 보호(''투텔라'')를 기원했다.

유노는 결혼의 수호신이며, 많은 사람들이 결혼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는 여신의 이름을 딴 6월이라고 믿는다.

5. 신화 속 유노

사투르누스의 딸로, 유피테르와의 사이에서 불카누스와 유벤타스를 낳았다. 꽃의 여신 플로라에게서 받은 마법의 꽃에 닿아 임신하여, 전쟁의 신 마르스를 혼자 낳았다.[131][132][133]

유피테르와 유노, 안니발레 카라치의 작품.


베르길리우스서사시아이네이스』에서는 트로이아인을 미워하여, 베누스의 아들 아이네아스의 로마 건국을 막기 위해, 아네모이(바람의 신)의 주인인 아이올로스에게 부탁하여 아이네아스의 선단을 침몰시키려 했다. 그 답례로 자신의 부하인 님프(요정) 중 가장 아름다운 데이오페아를 아이올로스에게 주겠다고 말했다.[210] 제7권에서는 유노가 알렉토를 불러 아마타를 조종하여, 투르누스와 아이네아스의 전쟁을 선동했다. 두 사람의 개전 전에는 유노가, 라티누스(라티누스 왕) 대신에, 전쟁을 시작할 때 열기로 되어 있는 야누스 신전(야누스의 신전)의 문을 열어 젖혔다.

5. 1. 다른 신들과의 관계

유노와 유피테르의 결합은 가장 오래된 라틴 신학의 일부이다.[131] 프레네스테는 고대 라틴 신화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데, 지역 여신 포르투나는 두 명의 아이, 즉 유피테르와 유노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으로 묘사된다.[132] 이들은 가장 초창기부터 고유한 이름으로 식별되었으며, 역사상 변경되지 않았다.[133] 이 신들은 모든 라틴 도시의 가장 오래된 신이었다. 프레네스테는 신성한 혈통과 유아기를 보존했는데, 주권신과 그의 배우자 유노는 근원적인 여신 포르투나 프리미게니아를 어머니로 둔다.[133] 테라코타 조각상들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그 중 하나는 키케로가 묘사한, 서로 다른 성별의 두 아이가 가슴에 손을 대는 여성을 정확히 묘사한다. 포르투나에게 바쳐진 두 개의 헌사에는 그녀와 유피테르가 함께 등장한다.[134] 그러나 1882년 R. 모왓은 포르투나가 '유피테르의 딸'이라고 불리는 비문을 발표하여 라틴 신들의 신학에 새로운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관점을 열었다.[135] 뒤메질은 이러한 모순이 근본적이고 기본적인 특징이라고 해석하는 이론을 발전시켰다.[136]

유노와 시작과 통행의 신 야누스 간의 관계는 주로 매달 칼렌다에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둘 다에 속하며, 10월 1일의 티길룸 소로리움 축제와 관련되어 있다. 야누스는 특히 시간과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 그는 숭배자와 신들 사이의 소통을 보장하기 위해 의례적인 소환과 기도에서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한다. 그는 아고니움 날의 ''렉스''가 1월의 칼렌다에뿐만 아니라 새해의 첫 번째 제물을 받도록 특권을 누린다. 오비디우스는 그의 ''파스티''에서 야누스가 자신이 원래의 카오스이자 세계의 첫 번째 시대라고 말했으며, 이후에야 조직되었다고 말한다. 그는 천국의 문지기로서 이 우주에 대한 보호 기능을 보존한다.[152] 그의 별칭은 수없이 많으며, ''Iunonius''는 특히 관련이 있는데, 이는 새로운 음력의 달의 탄생에서 유노의 젊음의 활력의 원천이자 협력하는 칼렌다의 신이기 때문이다. 그의 다른 별칭 ''Consivius''는 생성적인 기능에서의 그의 역할을 암시한다. 매달 칼렌다에에서 두 신의 역할은 새로운 달의 탄생을 주재하는 것이다. 야누스와 유노는 협력하여, 전자는 이전 달에서 다음 달로의 통행을 살피고, 후자는 그녀의 활력의 힘을 통해 그것을 돕는다. 유노 코벨라의 역할은 따라서 분만 중 여성들을 위한 루키나의 역할과 같다. M. 르나드는 야누스가 유피테르가 아니라 유노의 원래의 파레드라 또는 배우자였다는 견해를 제시했다.[153]

유노와 헤라클레스의 기원은 의심할 여지 없이 그리스적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모습은 초기 이탈리아 지역 종교에 동화되었다.[155] 두 신은 라누비움의 헤라클레스 신전 유적에서 발견된 헌정 비문에 함께 언급되어 있는데, 이 신전은 유노 소스피타 숭배 다음으로 중요하며 고대부터 존재했다.[157][158] 베이예의 견해에 따르면 유노와 헤라클레스는 산파 여신과 유아의 주술적인 수호신으로서의 특징뿐만 아니라 다산의 신으로서의 공통적인 자질 때문에 신생아의 수호신으로서 필루무스와 피쿠무스를 대체했다.[161] 성인 헤라클레스가 헤라에게 젖을 먹는다는 신화적 주제는,[168] 그리스에서 기원했지만,[169] 학자들은 그것이 에트루리아에서 완전한 인정과 발전을 받았다고 간주한다.[170]

게니우스의 여성적 대응물, 즉 남성이 게니우스라는 수호신 또는 '도플갱어'를 갖는 것처럼 여성은 '유노'라는 고유의 수호신을 갖는다는 견해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유지되어 왔다.[172] 게오르크 비소와와 K. 라테에 따르면 게니우스는 유노 루치나의 보호 아래 잉태와 출산을 통해 반영되는 여성적 본성과 대조되는 특정한 남성적 생식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해석은 발터 F. 오토에 의해 비판적으로 검토되었다.[174] 특히 제국 시대에는 게니우스와 '유노'에 대한 아이디어 사이에 어느 정도 일치하는 점이 있지만, 관련 문서는 다소 늦게 나타난다.[175] 뒤메질은 또한 이 구절들로부터 모든 여성이 비너스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고 언급한다.

5. 2. 아이네이스에서의 역할

유노는 로마 문학, 특히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중요한 적대 세력으로 묘사된다. 그녀는 디도를 지원하고, 이후 투르누스와 루툴리족을 지지하며, 아이네아스가 이탈리아에 새로운 트로이를 건설하려는 시도에 맞서 잔혹하고 사나운 여신으로 묘사된다.[210] 세르비우스는 ''아이네이스''에서 그녀의 여러 역할에 대해 논평하면서, 그녀를 헤라카르타고의 폭풍 여신 타닛의 혼합으로 추정한다.

베르길리우스서사시아이네이스』에서는 트로이아인을 미워하여, 베누스의 아들 아이네아스의 로마 건국을 막으려고 했다. 아네모이(바람의 신)의 주인인 아이올로스에게 부탁하여 아이네아스의 선단을 침몰시키려 했으며, 그 답례로 자신의 부하인 님프(요정) 중 가장 아름다운 데이오페아를 주겠다고 말했다. 제7권에서는 알렉토를 불러 아마타를 조종하여, 투르누스와 아이네아스의 전쟁을 선동했다. 두 사람의 개전 전에는 라티누스(라티누스 왕) 대신에, 전쟁을 시작할 때 열기로 되어 있는 야누스 신전(야누스의 신전)의 문을 열어 젖혔다.

6. 에트루리아 및 다른 문화권과의 연관성

에트루리아인들은 그리스인, 페니키아인, 카르타고인 등 지중해의 다른 민족들과 교류했다.[191] 1969년 타르퀴니아 근처 항구 그라비스카의 성소에서 그리스인과의 문화 교류 흔적이 발견되었다.[191] 크로톤, 포시도니아, 피르기와 같은 대규모 교역소에서 헤라 숭배는 항구에서 성스러운 매춘과 관련된 아프로디테 숭배에 대한 반작용으로, 결혼과 가족의 주권자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192] 카에레의 만가넬로 성소와[192] 카스트룸 노붐(산타 마리넬라)에서 유노 히스토리아에게 바치는 헌사가 발견되면서 유노와 헤라 숭배는 에트루리아에서 일반적으로 확인된다.[193][194]

1964년 피르기 태블릿 발견으로 우니와 페니키아 여신 아스타르테의 관계가 밝혀졌다.[195] 피르기에서 발견된 두 개의 문서는 우니 숭배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학자들은 에트루리아 여신 우니가 아르고스의 헤라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로마인들이 유노 켈레스티스라고 동일시한 카르타고 여신 타니트를 푸니식 대응물로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195]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유노가 푸니 언어로 아스타르테라고 불렸다고 언급했다.[196] 기원전 384년 시라쿠사의 함대에 의해 파괴된 피르기 성소를 묘사하는 그리스 작가들은 여신의 현지 이름이 엘레이티아와 레우코테아라고 언급했다.[198] 이는 유노 루치나와 마테르 마투타에 해당한다. 그러나 현지 신성명은 우니이며, 헤라로 번역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장소에서 발견된 청동 라멜라는 우니와 테산을 언급하며, 두 신을 통합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즉, 현지 우니-테산은 로마의 유노 루치나와 마테르 마투타가 되었을 것이다.[199] 베르길리우스아이네이스에서 유노와 로마 및 로마인과의 관계는 라틴, 그리스, 푸니적인 특징을 가지는 복잡성으로 나타난다.[200] 몰타의 ''파눔 유노니스''(헬레니즘 시대)에서 아스타르테와 타니트에 대한 헌정 비문이 발견되었다.[201]

마르티아누스 카펠라가 신들을 하늘의 16개 지역으로 배치한 것은[202] 에트루리아 종교 전승을 반영하는 것으로, 피아첸차 간 외부 테두리의 16개 케이스에서 발견되는 신명과 비교할 수 있다.[203] 유노는 2번 지역에서 퀴리누스, 마르스, 라르스 밀리타리스, 폰스, 림파에 및 디이 노벤실레스와 함께 발견된다. 이 위치는 피아첸차 간에서 1, 2, 3번 케이스에 티니아가 세 번 위치함에 따라 4번 케이스의 우니의 위치로 반영된다.

유노 호스피타에 게니우스는 9번 지역에 단독으로 존재한다. 그로티우스 이후로 많은 편집자들은 호스피타에를 소스피타에로 수정할 것을 제안했다. S. 바인스톡은 이 존재를 넵투누스의 배우자 중 하나로 식별할 것을 제안했다.[204]

14번 지역에는 사투르누스와 함께 유노 카엘레스티스가 위치해 있다. 이 신은 푸니 아스타르테/타니트로, 아프리카에서 사투르누스와 일반적으로 연관된다. 유노 카엘레스티스는 옵스 및 그리스 레아와 동일시된다.[205] 여기에서 우니는 푸니 여신으로, 피르기의 동일시와 일치한다. 그녀의 파레드라는 바알로, 사투르누스로 해석되는 페니키아 신이었다. 카프데빌은 유노 카엘레스티스가 저승 신들 사이에 배치된 것을 설명할 수 없다고 인정하며, 이는 주로 사투르누스의 배우자로서의 그녀의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보인다.[206][207]

유노는 북아프리카에서 주요 숭배 대상이 되었으며, 그곳에서 토착 여신 타닛과 융합되었다.

도시 수호 여신 유노 켈레스티스에게 헌정된 유노 켈레스티스 신전은 카르타고에서 가장 큰 건축 기념물 중 하나였으며, 북아프리카와 스페인 전역에서 온 순례자들의 성지가 되었다.[208] 이곳은 로마 제국에서 가장 큰 성지 중 하나였다.

7. 카피톨리노 삼위신

카피톨리노 삼위신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카피톨리움 베투스''를 지칭한다.[93] 이 신성한 삼위신의 존재를 그리스에서 언급하는 유일한 고대 자료는 파우사니아스 10.5.1-2이며, 그는 포키스의 Φωκικόν을 설명하면서 그 존재를 언급한다.[94] 카피톨리노 삼위신은 해석하기 어려운 문제를 제기한다. 라티움이나 에트루리아 어디에서도 그 존재에 대한 확실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매우 로마적인 것으로 보인다.[95] 직접적인 그리스의 영향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그것이 지역적인 창조물이라고 보는 것도 타당할 것이다.[96][97] 뒤메질은 이것이 타르퀴니우스 왕조가 새로운 라틴 민족주의에 반대하기 위해 만든 이념적 구성물일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는데, 그 이유는 《일리아스》에서 트로이의 적대자들이었던 세 신을 포함했기 때문이다.[98] 라틴인들이 이미 아이네이아스를 자신들의 조상으로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있다. 고대 자료 중[99] 세르비우스는 에트루스카 규율에 따르면 도시들은 유피테르, 유노, 미네르바의 세 신전을 세 개의 문으로 이어지는 세 개의 길 끝에 세워야 한다고 말한다. 비트루비우스는 이 세 신의 신전들이 다른 곳에서 떨어진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해야 한다고 기록한다. 그의 에트루리아 창시자들에게 이 삼위신의 의미는 헤라클레스의 탄생과 미네르바가 운명의 여신으로서 지배적인 부부 우니 티니아와 함께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트로이 포위와 같은 특유의 에트루리아적 사고와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100]

8. 현대적 의의

NASA는 2011년에 목성으로 우주 탐사선을 발사했으며, 신화 속에서 신 유피테르와의 관계를 언급하여 주노라고 명명했다.[213]

참조

[1] 서적 Larousse Desk Reference Encyclopedia The Book People 1995
[2] 서적 Ancient Rome Warwick Press 1986
[3] 논문 Mythologus Berlin 1828
[4] 서적 Religion und Kultus der Römer Munich 1912
[5] 논문 "Expression indo-européenne de l' éternité" 1937
[6] 서적 Roman Religion and Roman Empire. Five Essays Philadelphia 1974
[7] 서적 La relig. rom. arch. Paris 1974
[8] other Antiquitates Romanae
[9] other Ling. Lat.
[10] other Fasti
[11] 논문 Les autels de Titus Tatius. Une variante sabine des rites d' integration dans les curies? 1976
[12] 서적 Die Götter Altitaliens Münster 1965
[13] other
[14] other Sat.
[15] other Ling. Lat.
[16] other ARR
[17] 서적 Roman Religion and Roman Empire
[18] 서적
[19] 서적 Römishe Religionsgeshichte Munich 1960
[20] other Fasti II
[21] 서적 Fêtes romaines d'eté et d'automne. Suivi par dix questions romaines Paris 1975
[22] other
[23] other
[24] 서적 article Februa, Februata
[25] 서적 Religion und Kultus der Römer
[26] 논문 "Les Lupercales, Junon et le printemps." 1976
[27] other Fasti
[28] other Fasti
[29] other Mythographi Romani
[30] other
[31] other Mythographi Romani
[32] other Fasti
[33] other Naturalis Historia
[34] other Lingua Latina
[35] other Lingua Latina
[36] CIL CIL VI 356-361; 3694-5; 30199
[37] CIL CIL VI 358
[38] 서적 Livy XXXXVII 3, 2
[39] 서적 Ovid Fasti III 247; Festus p. 147 M; Hemer. Praenest. ad Kal. Mart.; CIL I 2nd p. 310
[40]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London 1929
[41] 서적 Ovid Fasti II 57–58
[42] 서적 Julius Obsequens 55
[43] 서적 Cicero De Divinatione I 4
[44]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London 1929
[45] 서적 Plutarch Camillus 33; Romulus 29; Varro Lin. Lat. VI 18; Macrobius Sat. I 11, 35-40
[46] 간행물 Nonae caprotinae: la fausse capture des Aurores 1974
[47] 간행물 Nonae Caprotinae 1949
[48] 서적 Early Rome. V Lund 1973
[49] CIL CIL XI 3100;3125;3126
[50] 서적 Servius Aen. I 8, I 17
[51] 간행물 Iuno SMR 1954
[52] 서적 De Nupt. Merc. et Philol.
[53] 서적 Cicero De Natura Deorum I 82
[54] 서적 Schol. Pers. Sat. IV 26; Stephanus Byzant. s.v. Κυρίς; Festus p. 302 L
[55] 서적 Paulus ex Festo p. 43 and 55 L; Servius Aen. I 8; Plutarch Romulus 29; Quaestiones Romanae, 87; Ovid Fasti II 477
[56] 서적 Servius Aen. I8
[57] 서적 Cf. G. Radke above, article Cur(r)itis
[58] 서적 Dionysius of Halicarnassus, Antiquitates Romanae, II 50, 3; Servius Aen.I 17; Paul. ex Fest. s.v. Curiales menses p.56 L
[59] 간행물 Beiträge zur Römische Religionsgeshichte. I Flamen curialis und Iuno Curitis 1916
[60] 간행물 Varron avait raison 1973
[61] 간행물 Ianus dieu intrducteur, dieu des passages
[62] 서적 Macrobius Sat. III 9
[63] 서적 Rome 2010
[64] 간행물 Iuno Sospita Mater Regina 1954
[65] 서적 R. E. A. Palmer above p. 29-30
[66] 서적 V. Basanoff citing Mancini
[67]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Musei Capitolini, Comune di Roma, offering details on the location and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temple
[68] 서적 Junon falisque et ses cultes à Rome
[69] 웹사이트 etymonline: 'money' https://www.etymonli[...]
[70] 서적 Les dieux des Romains
[71] 서적 Matronalia
[71] 간행물 Recherches sur la prise de Véies et sur Iuno Regina
[72] 문서 above
[73] 문서 CIL
[74]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ique Paris
[75] 문서 V 21; V 22, 3–7
[76] 문서 Saturnalia
[77] 서적 Camillus; a study of Indoeuropean religion as Roman history Univ. of California Press
[78] 간행물 Archeologia Classica
[78] 간행물 Archeologia Classica
[79] 문서 VXL 14, 5-6
[80] 문서 above
[81] 문서 XXII 1, 17-19
[81] 문서 Saturnalia
[82] 문서 above
[83] 문서 Carmen Saeculare
[83] 서적 Horace Oxford
[83] 간행물 De ludis saecularibus populi Romani Quiritium Milano
[84] 서적 "Servius et la Fortune. Essai sur la fonction sociale du louange et de la blâme et sur les elements indo-européens du cens romain" Paris
[84] 서적 Titus Livius V
[84] 서적 above
[85] 문서 V 2, 1-3
[85] 문서 XIII 3
[85] 문서 Camillus
[85] 문서 I 8, 3
[86] 문서 Monumentum Ancyranum IV 6
[87] 문서 XXVII 37, 7
[88] 문서 XL 52, 1
[89] 문서 Fasti Antiates apud NS 1921 p. 121
[90] 문서 14
[91]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London
[92] 서적 Evocatio: Iuno Caelestis de Carthage. I Exoratio. II Evocatio
[92] 서적 ARR Paris
[92] 서적 Les religions de l'Afrique antique Paris
[92] 문서 Caius Gracchus
[92] 문서 XXVIII 11
[92] 문서 III 9
[93] 문서
[94] 인용
[95] 간행물 Il culto del cosiddetto tempio di Apollo a Veii ed il problema delle triadi etrusco-italiche
[96] 인용
[96] 간행물 Dedica arcaica lavinate a Castore e Polluce
[96] 간행물 Two archaic inscriptions from Lavinium
[97] 간행물 Disegno storico del culto capitolino nell'Italia romana e nelle province dell' Impero
[98] 서적 Myth et Epopée III: part III chapt. 1 Paris
[98]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ïque Paris
[98]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ïque (It. tr.) Milano
[99] 문서 De architectura
[100]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ique Paris
[100]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ique (It. tr.)
[101] 문서 II 149
[102] 간행물 Religion in the Latin Elegists
[102] 서적 Römische Religionsgeschichte Munich
[102] 문서 Amores
[102] 문서 s.v. Curritis
[103] 문서 CIL XIV I(VNONI) S. M. R.2091; 2088; 2089; 2121; IUNONE SEISPITEI MATRI REGINAE 2090
[104]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ique Paris
[104]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ique (It. tr.) Milano
[105] 문서 VIII 14, 2
[105] 문서 Pro Milone
[105] 문서 Pro Murena
[106] 서적 Daniel P. Harmon above p. 1971; Properce IV 8; Aelian ''De Natura Animalium'' XI 16
[107] 논문 Monumenti Lanuvini 1921
[108] 서적 Harmon above p. 1973; Herodotus VIII 41
[109] 서적 Archaic Roman Religion
[110] 논문 Vesta Zurich 1949
[111] 논문 Iuno Covella 1952
[112] 서적 La colonisation grecque de l'Italie meridionale et de la Siclie dans l'Antiquité Paris 1957
[113] 기타 Cicero ''De natura deorum'' I 29, 82
[114] 기타 Claudius Helianus ''De natura animalium'' XI 16
[115] 논문 Diomede nel Lazio e le tradizioni leggendarie sulla fondazione di Lanuvio 1998
[116] 기타 Livy VIII 14, 2; Silius Italicus VIII 360
[117] 기타 Livy XXXII 30, 10; XXXIV 53, 3
[118] 기타 Cicero ''Pro Milone'' 27 and 46
[119] 논문 Culti e dottrine religiose in Magna Gaecia 1965
[120] 기타 Ṛig Veda II 41, 17
[121] 기타 Above II 41, 16
[122] 기타 Above I 10, 30
[123] 기타 Above II 3, 8; I 3, 10-11
[124] 기타 Above II 30, 8
[125] 기타 Above VI 61, 7
[126] 기타 Yt. V 85-87
[127] 기타 Yasna LXV 2 and 5
[128] 논문 Juno S. M. R. 1954
[129] 서적 Die Götter Altitaliens Münster 1965
[130] 논문 Religion in the Latin Elegists
[131] 논문 Déesses latines et mythes vediques. III Fortuna Primigenia 1956
[132] 기타 Cicero ''De nat. Deor.'' II 85-86
[133] 서적 Déesses latines et mythes vediques
[134] 기타 CIL XIV 2868 and 2862 (mutile).
[135] 논문 Inscription latine sur plaque de bronze acquise à Rome par par M. A. Dutuit 1882
[136] 서적 Déesses latines et mythes vediques Bruxelles 1956
[137] 기타 Ṛg-Veda X 72, 4-5
[138] 논문 Janus dieu introducteur, dieu des passages 1960
[139] 기타 R. Maurenbrecher's reading
[140] 기타 Johannes Lydus ''De Menisbus'' IV 2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Les Horaces et les Curiaces Paris 1942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Les origines de l'Hercule romain Paris 1926
[157] 서적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161] 서적
[162] 서적
[163] 서적
[164] 서적
[165] 서적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170] 서적
[171] 서적
[172] 서적
[173] 서적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oman People London 1918
[174] 서적
[175] 서적
[176] 서적 Religion und Kultus der Römer Munich 1912
[177] 문서 Genius Iovis Liberi CIL
[178] 문서 Genius Iovis, Genius Martis, Genius Victoriae CIL
[179] 서적 Advensus Nationes
[180]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ique
[181] 서적 De Die Natali
[182] 서적
[183] 서적 De Divinatione
[184]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ïque Paris 1977
[185] 서적 Lingua Latina
[186] 서적
[187] 서적
[188] 서적 Advensus Nationes
[189] 서적 Saturnalia
[190] 서적 Gellius
[191] 간행물 Dedicatory inscriptions to Hera on terracottas of the 6th century
[192] 간행물 Dedications on terracottas of the 4th-3rd century
[193] 간행물
[194] 간행물
[195] 간행물
[196] 서적 Quaestiones in Heptateuchum
[197] 간행물
[198] 간행물
[199] 간행물
[200] 간행물
[201] 간행물 Hera, Uni, Junon en Italie Centrale
[202] 서적 De Nuptiis Mercurii et Philologiae
[203] 간행물
[204] 간행물 Martianus Capella and the Cosmic System of the Etruscans 1946
[205] 서적 Antiquitates Rerum Divinarum
[206] 서적 Saturne Africain. Histoire Paris 1966
[207] 논문 Les dieux de Martianus Capella 1996
[208] 서적 The Emperor Commodus: God and Gladiator Pen & Sword Books 2015
[209] 논문 Boccaccio's Archaeological Knowledge
[210] 웹사이트 Deception in the Aeneid http://warintheaenei[...] 2016-09-20
[211] 웹사이트 classics.mit.edu/Ovid/metam.html contains a full text translation of the work classics.mit.edu/Ovi[...]
[212] 서적 Famous Women Harvard University Press
[213] 웹사이트 NASA's Juno Spacecraft launches to Jupiter 5 Aug 2011 https://www.nasa.gov[...] 2016-06-27
[214]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岩波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